툴루즈 오귀스탱 미술관 증축 − 역사적 자산 사이 새 출입구
.
.
The Musée des Augustins – one of the oldest museums in France – is intrinsically linked to the medieval Convent des Augustins, in Rue de Metz, Toulouse. The charm of the museum lies in this symbiosis, whereby the value of the artworks and the museographic itinerary are inseparable from the spatial context of the convent and its peaceful cloister.
프랑스 툴루즈 메스 거리에 있는 유서 깊은 미술관 중 하나인 ‘오귀스탱 미술관’은 원래 오귀스탱 수도원이 그 전신이다. 수도원의 분위기의 평화로운 회랑이 이곳에 소장된 예술품 및 전시품과 어우러져 미술관 특유의 매력을 자아낸다.
.
.
새 출입구는 미술관 뿐 아니라 수도원의 출입구로도 이용될 예정이다. 도시를 향해 열려있으면서도, 수도원의 공간적 가치를 존중하듯 안쪽을 보고 조용히 돌아앉은 모습이 특징이다. 수도원 남쪽, 옛 부속 건물이 있던 자리를 차지한 새 출입구는 이젠 사라지고 없는 에케 호모 예배당의 자리를 대신한다. 엣 예배당의 호젓함을 되찾고, 현대식 배경과 과거 수도원 사이의 괴리감을 줄이는 데 계획의 주안점을 두었다. 새 출입구로 과거 남쪽 부속 건물의 존재감도 되찾았을 뿐 아니라, 원래 수도원의 구조에 따른 통로 또한 다시 이용할 수 있게 했다.
새 출입구는 커다란 오프닝 때문에 눈에 확 띄어서, 방문객들이 어쩔 수 없이 그 쪽으로 몸을 돌리게 만든다. 이곳을 지나 수도원까지 이어진 돌 소재의 깊숙한 보이드가 도시와 수도원 사이에 가능한 한 긴 궤적을 그리며 빨리 내부를 보고 싶은 열망을 품게 한다. 이 통로는 크게 느끼지 못할 정도의 미미한 경사와 함께 입구부터 수도원까지 흐르듯 연결되며 다른 모양과 높이를 지닌 주변의 구조물들과도 은은하면서도 자연스럽게 어우러진다.
.
.
The new entrance of the museum will also be the new door of the convent: it will be clearly open to the city, whilst at the same time, serenely turning inwards to the cloister, respecting the spatial values of the convent.
The new composition occupies the old southern wing of the cloister, recovering the dimension of the disappeared Chapelle de l’Ecce Homo. Its aim is to restore a sense of seclusion to the ancient buildings, bringing back the distance which separates the ancient convent from the modern outside world – a relationship which is currently all too fragile. This volume brings back thickness to the south wing of the convent and reopens its connections, according to the original composition of the cloister.
The museum’s proposed new entrance is very evident, marked by a large opening to which the visitor inevitably turns. This opening reveals a deep and mineral void, leading the visitor to the cloister. The orientation of the space establishes the longest possible trajectory between the city and the cloister, a path whose distance fosters a sense of longing.
This path is enhanced by an almost imperceptible slope that flows subtly from the entrance towards the cloister, relating all the different geometries and heights in a subtle and natural way.
.
.
On the cloister side, two ancient passages are reopened and illuminate the gallery. The first one, a monumental ogival arch, is completely recovered, creating a passage between the new building and the convent.
The second, an archway, becomes a window which brings light into the building and creates a subtle visual discovery of the cloister from the entrance area.
The main entrance, with a gabled roof, also communicates with a smaller space that monumentalizes the façade of the adjacent building, allowing light reflected by the bricks to invade the space.
Above the cloister gallery, the sober presence of a wall dominates the cloister, protecting it from the sights and sounds of the city and reaffirming its monumental and timeless singularity. With a subtle separation from the existing buildings, the project occupies its place in history, respecting the conditional assets and standing out serenely from all previous historical references.
.
.
수도원 쪽에서 보면, 두 개의 옛 통로가 다시 문을 열어 갤러리를 밝히는 모양새다. 그 중 하나인 고딕풍 아치는 새 단장을 마친 모습으로 새로운 건물과 수도원 사이의 연결고리가 되어준다. 두 번째인 아치형 길에는 빛이 내려와 입구에서부터 회랑을 미묘하게 바라볼 수 있도록 한다. 박공 지붕으로 된 메인 입구 역시 새로운 파사드와 조화를 이루며 벽돌에 반사된 빛을 끌어들인다.
회랑으로 된 갤러리 위로, 이를 압도하는 분위기의 벽이 세워져 도시에서 흘러 들어오는 풍경과 소리를 차단하고 이곳 특유의 분위기를 북돋운다. 기존 건물 사이를 절묘하게 분리함으로써 역사적 위치를 고수하고 과거의 자산을 존중하는 한편, 옛 것 속에서 은근히 시선을 사로잡는다.
이미지와 움직임, 소음이 지배하는 현대 도시에서, 은은한 여백의 흐름으로 방문객을 자연스레 매료시킬 공간이다.
.
.
Project: Extension du Musée des Augustins à Toulouse / Location: Toulouse, France / Architects: Francisco Aires Mateus, Manuel Aires Mateus / Project leader: Anna Bacchetta / Project team: Pedro Frade, Alexandre Branco, Pietro Tentori, Fulvio Capsoni, Diogo Castro Guimarães, Aurnaud Fromet, Lavinia De Benedetti / Engineer: BG Ingénieurs Conseils / Economiste: R2M / Acoustique engineer: INACOUSTICS / Specialiste patrimoine: BOSSOUTROT & REBIÈRE / Design: 2017.11